content="user-scalable=no, initial-scale=1.0, maximum-scale=1.0, minimum-scale=1.0, width=device-width"> 부부간 양도소득세 – 절세 전략 및 신고 방법 총정리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부부간 양도소득세 – 절세 전략 및 신고 방법 총정리

부부간 양도소득세, 꼭 알아야 하는 이유

부부 사이에도 부동산을 매매하거나 증여할 경우 **양도소득세(양도세)**가 부과될 수 있다.
특히, 절세 목적이나 부동산 명의 변경을 위해 배우자에게 재산을 이전하는 경우
세법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면 예상치 못한 세금 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

 

 

부부간 양도소득세가 중요한 이유

  1. 배우자에게 부동산을 팔면 양도세 과세 대상
  2. 증여와 양도는 과세 방식이 다름 → 절세 전략이 필요
  3. 부부간 부동산 거래가 ‘명의신탁’으로 의심받을 가능성이 있음

이번 글에서는 부부간 양도소득세의 개념, 과세 기준, 절세 방법, 신고 절차, 유의사항 등을 정리했다.


1. 부부간 양도소득세란?

(1) 양도소득세란?

양도소득세(이하 "양도세")는 부동산, 주식, 기타 자산을 매매하여 차익이 발생할 경우 부과되는 세금이다.
즉, 부동산을 매도하여 이익이 발생하면 그 차익에 대해 세금을 내야 한다.

 

📌 양도소득세 기본 구조

양도소득세 = (양도가액 - 취득가액 - 필요경비 - 장기보유특별공제) × 세율

 

과세 대상:

  • 부동산(토지, 건물, 아파트 등)
  • 주식 및 기타 재산

과세 기준:

  • 양도소득세는 부동산을 판 사람이 부담하는 세금
  • 양도 차익이 클수록 세율이 높아짐

(2) 부부간 부동산 거래 시 양도소득세 적용 여부

양도세가 부과되는 경우:

  1. 배우자에게 부동산을 ‘매매(유상 거래)’한 경우
    • 배우자가 시장 가격(시가)에 맞게 대금을 지급하고 거래한 경우
    • 정상적인 매매 계약서 작성 및 세금 신고가 이루어진 경우

양도세가 부과되지 않는 경우:

  1. 배우자에게 ‘증여(무상 거래)’한 경우
    • 부부간 증여로 간주되어 양도세 대신 증여세 과세 대상이 됨
    • 10년간 6억 원까지 증여세 면제 가능

📌 부부간 양도세 vs 증여세 차이점

구분양도소득세증여세

과세 대상 양도 차익(시세 차익) 증여받은 자산 가치
세율 6~45% (양도 차익에 따라 차등 적용) 10~50% (증여 금액에 따라 차등 적용)
절세 방법 장기보유특별공제 활용 10년 내 6억 원까지 비과세

 


 

2. 부부간 양도소득세 계산 방법

(1) 양도소득세 세율 구조

📌 2025년 양도소득세 세율 (예상)

양도 차익기본 세율

1,200만 원 이하 6%
4,600만 원 이하 15%
8,800만 원 이하 24%
1억 5천만 원 이하 35%
3억 원 이하 40%
3억 원 초과 45%

예제: 배우자에게 아파트를 매도한 경우

  • 취득가액: 5억 원
  • 양도가액: 8억 원
  • 양도 차익: 3억 원
  • 세율: 40%
  • 양도소득세: 약 1억 2천만 원

👉 양도 차익이 클수록 세금 부담이 크므로, 절세 전략이 필수!


3. 부부간 양도소득세 절세 방법

(1) 부부간 ‘증여’ 활용하기 (10년간 6억 원 비과세)

배우자에게 부동산을 매매하는 대신 증여하면 양도세를 피할 수 있다.
단, 증여세 과세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 부부간 증여세 면제 한도 (2025년 기준 예상)

  • 10년간 6억 원까지 증여세 면제
  • 6억 원 초과 시 초과분에 대해 10~50% 세율 적용

증여 활용 전략:

  1. 10년마다 6억 원씩 나눠 증여하여 세금 부담 줄이기
  2. 증여 후 5년이 지난 후 매도하면 증여 당시 가액이 취득가액으로 인정

(2) 장기보유특별공제 활용하기

부동산을 10년 이상 보유하면 양도세를 줄일 수 있다.

📌 장기보유특별공제율 (2025년 기준 예상)

보유 기간공제율

3년 이상 6%
5년 이상 15%
10년 이상 30%

절세 전략:

  • 양도 전에 10년 이상 보유 후 매도하면 최대 30%까지 공제 가능
  • 장기 보유 후 배우자에게 양도하면 양도세 부담이 줄어듦

4. 부부간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

(1) 양도세 신고 기한

  • 부동산 매매 후 양도일이 속한 달의 말일부터 2개월 이내 신고
  • 기한 내 신고하지 않으면 가산세 부과 (최대 40%)

(2) 양도세 신고 절차

📌 온라인 신고 (국세청 홈택스 이용)

  1. 국세청 홈택스 접속 (https://www.hometax.go.kr)
  2. [신고/납부] → [양도소득세 신고] 클릭
  3. 양도가액 및 취득가액 입력
  4. 장기보유특별공제 등 적용 후 세액 자동 계산
  5. 전자 신고 제출 및 납부

📌 오프라인 신고 (세무서 방문)

  1. 거주지 관할 세무서 방문
  2. 양도소득세 신고서 작성
  3. 제출 후 세액 확인 및 납부

부부간 양도소득세, 절세 전략이 핵심!

배우자에게 부동산을 매도하면 양도세 과세 대상
증여를 활용하면 10년간 6억 원까지 증여세 비과세 가능
장기보유특별공제를 활용하면 양도세 부담을 줄일 수 있음
양도 후 2개월 이내 신고 필수! 기한 초과 시 가산세 부과됨

 

사진: Unsplash 의 Keith Tanner